일반의약품(OTC)과 전문의약품(ETC)의 차이는?
ㆍ 일반의약품(OTC)과 전문의약품(ETC)의 차이는?
ㆍ 처방전없이 약국에서 살 수 있는 약 종류
약사법 2조 4항에 따르면 의약품에 대해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의약품이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을 말한다."
의약품에는 여러 종류가 있고, 기준에 따라 구분도 다양하게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일반의약품(OTC)과 전문의약품(ETC)의 차이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의약품은 크게 전문의약품과 일반의약품으로 구분됩니다.
전문의약품은 의사의 진단과 처방에 따라 사용해야 하는 약품이며,
부작용이 우려되거나 내성이 잘 생기고,
습관성이나 의존성이 있는 약들이 주로 전문의약품으로 분류됩니다.
이 때문에,
전문의약품을 구입하려면 반드시 의사 처방전이 있어야 합니다.
반면
일반의약품은 약리작용이 전문의약품만큼 강하지 않아 의사 처방전 없이도 구입 가능합니다.
단, 약사와 상담 후 구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의약품 중 보건복지부가 안전상비약으로 허용한 4종(감기약, 소화제, 해열진통제, 파스) 13개 품목은
편의점에서도 판매하고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 13가지 약품은 가정에서 급하게 사용하는 것으로
약국이 모두 문을 닫는 심야 응급 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며,
모든 약 포장지에는 "전문의약품"과 "일반의약품"이 표기되어 있습니다.
전문의약품인 경우,
의사의 처방없이 함부로 바르거나 복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살 수 있는 약
소화기관약 | ||||
소화제 | 까스명수에프액, 까스활명수, 생록천액, 속청액, 위청수, 멕시롱액, 생단액 | |||
제산제 | 겔포스, 포스겔지현탁액, 노루모내복액/산, 노루모에이정, 데니에이시럽, 미란타액, 시메코현탁액, 암포젤 엠, 알마겔에프현탁액, 알마겔정, 마그밀정, 복합탈시드정, 쿨탑정 | |||
건위소화제 | 베스타제포르테정, 베아제정, 닥터베아제, 복합파자임이중정, 에비오제RX정, 제스 탄정, 파자임이중정, 훼스탈플러스정 |
|||
이담제 | 쓸기담, 아진탈포르테정, 우루사 | |||
소화성궤양용제 | 복합아루사루민정 | |||
진경제 | 부스코판에이정, 부스코판당의정 | |||
정장제 | 누크베비산, 정로환, 정로환당의정, 메디락에스산, 메디락포포산, 메디락베베산, 미야리산에프지과립, 비오 비타과립, 미야리산비타, 미야리산더블유정 |
|||
지사제 | 후라베린큐정, 스멕타현탁액, 후라베린큐시럽, 에세푸릴현탁액 | |||
변비약 | 둘코락스에스정, 비코그린정 |
감기질환약 | ||||
해열진통소염제류 | 어린이 부루펜시럽(이부프로펜제제), 어린이용 타이레놀액(아세트아미노펜제제), 게보린, 뇌선, 아스피린, 부루펜, 사리돈, 암씨롱, 폰탈, 펜잘, 타이레놀, 써스펜시럽/좌약 등 |
|||
편두통치료제 | 마이드린캅셀, 미가펜캅셀 등 | |||
진해거담제 | 리나치올, 뮤코펙트, 사포날과립, 소부날캅셀(소브레롤), 슈다페드,발소소아용좌약, 아스마에취시럽, 토 푸렉실시럽, 용각산, 지미코프시럽 등 |
|||
종합감기약 | 가미소청룡탕에프시럽, 고푸레시럽, 콜디시럽, 하벤코프시럽, 화이투벤생시럽, 화콜골드시럽, 나이킨내 복액, 판피린에프액, 고프레티엘에프캅셀, 하벤플러스캅셀, 화이투벤에스캅셀, 화콜골드엔피캅셀, 화콜 코프-에이 등 |
|||
소염효소제 | 기모타부정, 단젠정(세라치오펩티다제제제), 리소짐정 등 | |||
항히스타민제 (코감기약) |
시노카베베시럽, 시노카에이캅셀, 콜민에이정/시럽, 지르텍정/액, 보나링에이정, 액티피드 정/시럽, 시노카에스캅셀, 지미코정/시럽 등 |
외용약 | ||||
진통 진양 수렴 소염제 | 계안액, 물드라민액, 물파스, 안티푸라민, 맨소레담, 신신파스, 대일파스, 제놀, 제일파프, 트라스트, 케토톱, 케펜텍, 에어파스, 케토프로펜겔 등 | |||
국소마취약 | 사노바스프레이(리도카인), 파워겔 등 | |||
무좀약 | 치선액, 피엠정, 라미실크림, 라미실외용액, 토오졸 등 | |||
비듬약 | 니조랄액 등 | |||
여드름약 | 옥시커버크림, 아젤리아크림 등 | |||
항바이러스약 | 바크로비크림, 아시크로바크림 등 | |||
발모제 | 마이녹실액 | |||
창상보호제 | 마데카솔, 복합 마데카솔, 바세린거즈 등 | |||
티눈약 / 고약 | 티눈스립, 티눈액, 조고약, 이명래고약, 범밴드 범파스 등 | |||
화농성질환연고 | 후시딘연고 등 | |||
피부연화제 | 반질, 유레아킨 등 | |||
구내염치료제 | 오라메디연고 등 | |||
기타 목적 연고 | 발모제, 동상연고, 등 | |||
기타 습진연고 | 아리코트에스크림, 젬젬씨베이비연고, 세레스톤지크림, 캄비손소프트크림 등 |
안과 / 이비인후과 / 치과 의약품 | ||||
안과 | 비콤, 메모비스, 산스타, 산클, 핀클, 은초롱, 틴클 등 | |||
이비인후과 | 오트리빈 분무액, 나리스타에스점비액, 인공관류 크린조, 스카이나, 지미코프시럽, 지르텍 등 | |||
치과 | 구청껌정, 미놀트로키정, 이가탄캅셀, 인사돌정, 커버겔, 베타가글액, 파로돈탁스, 케어가글액 |
비뇨생식기 의약품 | ||||
피임약 | 마이보라, 머시론, 미뉴렛, 미니보라30, 트리노디올당의정, 트리퀼라 등 | |||
생식기약 | 지노베타딘질세정액, 카네스텐질정, 쎄닐톤, 파워겔 등 | |||
비뇨기약 | 네프리스연질캅셀 등 |
자양강장제 | ||||
간장약 | 리카바, 헬민, 쓸기담, 우루사 등 | |||
혈액순환개선제 | 기넥신에프, 두리방, 써큐란, 징코민, 힘톤씨, 아스피린프로텍트, 아스트릭스 등 | |||
비타민류 | 쎄쎄, 씨메이저, 그랑페롤, 게므론, 삐콤씨, 삐콤, 아로나민골드, 게브랄티, 하이비날, 마터나 베타 등 | |||
자양강장제 | 박카스, 알프스, 영진구론산, 원비디, 자황액, 비나폴로엑스트라연질캅셀, 엘코크, 텐텐츄정, 노마에프 등 |
|||
철분제 | 훼럼포라, 훼로바, 훼럼키드액 등 | |||
칼슘제 | 오스칼, 헬스칼 등 | |||
단백아미노산제 | 엘씨500 등 |
심장 신경관련 약 | ||||
강심제 | 구심, 우황청심원 등 | |||
진정제 | 잘덴, 자메로 등 독시라민석시네이트제제 , 안신액, 안정액, 제레팜 등 천왕보심단 제제 |
치질약 | ||||
먹는 약 | 페리바정 등 | |||
연고 좌약 | 푸레파레이손에치크림/죄제/연고, 프록토세딜, 자운고, 확투, 치크린 | |||
처방없이 살 수 있는 약 (알레르기) | ||||
먹는 약 | 오로친, 다이오친에프연질캅셀, 지르텍 등 | |||
바르는 약 | 칼라민로숀 |
임신진단시약, 구충제, 멀미약, 한방약 등 | ||||
진단시약 | 단백시험지, 당뇨시험지, 잠혈시험지, 뇨단백시험용스트립, 임신진단시약 등 | |||
한방약 | 기응환, 청심원, 구심 등 모든 순수한방 성분제제 | |||
구충제 | 젠텔, 젤콤, 후루버말 등 종합구충제 | |||
멀미약 | 이지롱내복액 등 |
아침 공복이나, 빈속에 먹으면 안되는 음식
빈 속에 먹으면 절대 안되는 음식 10가지 "아침 공복이나 빈속에 먹으면 안되는 음식! 아침에 일어나 배가 무척 고플 때, 하루종일 아무것도 먹지 못해 허기가 밀려올 때는 무엇이든 맛있어 보이
momo-24.com
당뇨병 초기증상ㆍ원인ㆍ진단ㆍ치료ㆍ식이요법
당뇨병 [diabetes mellitus]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대사질환의 일종으로, 혈중 포도당 농도가 높은 것이 특징인 질환입니다. 당뇨병은 인슐린의 분비
momo-24.com
대상포진, 도대체 얼마나 아프길래
대상포진 [herpes zoster] 사람 몸의 신경절에 잠복상태로 있던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다시 활성화되면서 발생하는 질병! 어릴 때, 수두를 앓았던 사람에게 많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몸 속에 잠
momo-24.com
나이들면 찐다는 나잇살! 원인과 예방법
나이들면 찐다는 나잇살 원인과 예방법 나이가 들면서 점점 체지방, 복부지방이 증가하면서 살이 찌게 됩니다. 특히나 50~60대 이후의 여성은 남성보다 비만 유병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momo-24.com
뇌졸중(중풍) 후 휴우증
뇌졸중(중풍), 어떤 병이길래? 우리나라 40~50대 사망률은 세계 최고 수준이며, 그 원인이 되는 병 중 하나가 바로 뇌졸중(중풍)입니다. 이 연령대의 사망원인 1위는 간질환이지만, 전체 나이에서
momo-24.com
'자기계발 > 사소한 궁금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훈민정음 해례본 (0) | 2023.07.22 |
---|---|
서울미래유산 노포 음식점 (0) | 2023.07.22 |
벌레 습격 대처방법 (0) | 2023.07.21 |
[눈/눈썹] 관련된 꿈과 해몽의 모든것 (0) | 2023.07.19 |
연어와 가물치 (1) | 2023.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