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구과십육 [口過十六]
주로, 나이를 드신 어르신이 입으로 짓기 쉬운 16가지 잘못을 말합니다.
ㆍ 행언희학(行言戱謔) : 실없이 시시덕거리는 우스갯말.
ㆍ 성색(聲色) : 입만 열면 가무나 여색에 대해 말함.
ㆍ 화리(貨利) : 재물의 이익에 관한 얘기.
ㆍ 분체(忿疐) : 걸핏하면 버럭 화를 언사.
ㆍ교격(撟激) :
남의 말을 경시하고 올바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엉뚱하고, 과격한 말을 쏟아내 주위를 불안하게 하는 일.
ㆍ 첨녕(諂佞) : 체모 없이 아첨하는 말.
ㆍ 구사(苟私) : 사사로운 속셈을 두어 계획적으로 꾸민 속임수.
ㆍ 긍벌(矜伐) : 내가 왕년에 운운하면서 벼슬한 자랑을 늘어놓고 으스대는 일, 남을 꺾으려 드는 태도.
ㆍ 기극(忌克) : 자기보다 잘나고 우월한 사람을 기피하고 꺼리는 야비한 심사.
ㆍ 치과(恥過) : 남이 내 잘못을 지적하는 것을 수치로 알아듣고 못 견딘다.
ㆍ 택비(澤非) :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아닌 척 기피하고 받아들이지 못하는 좁은 심성.
ㆍ 논인자후(論人訾訽) : 남에 대해 이러쿵저러쿵 비방하며 헐뜯는 일.
ㆍ 행직경우(倖直傾旴) : 저 혼자 곧은 체하며 남의 허물을 들춤.
ㆍ 멸인지선(蔑人之善) : 남의 좋은 점을 칭찬하지 않고 애써 탈 잡음.
ㆍ 양인지건(揚人之愆) : 남의 사소한 잘못도 꼭 드러내 떠벌림.
ㆍ 시휘세변(時諱世變) : 세상이 혐오하고 경계하는 일로 평소 말하기를 꺼리는 문제나 사안,
세상의 변고에 대해 말세니 종말이니 하여 절망시를 늘 입에 달고 사는 사람을 일컫는 말.
구과란 입의 허물,
입을 잘못 놀려 사람들이나 이웃, 공동체에 큰 화근이 되는 망언(妄言)을 말합니다.
아무 생각 없이 경망하게 말을 함부로 해 사회적 폐해(弊害)를 끼치는 것입니다.
창업수성 創業守成
창업수성 創業守成 나라를 세우는 일과 이를 지켜 나가는 일이라는 뜻으로, 일을 시작하는 것은 쉽지만, 이룬 것을 지키는 것은 어려움을 이르는 말입니다. 創 : 시작할 창, 業 : 일 업, 守 :
momo-24.com
변명의 3가지 유형
변명은 ㆍ 어떤 잘못이나 실수에 대하여 구실을 대며 그 까닭을 말함. ㆍ 옳고 그름을 가려 사리를 밝힘. 변명, 핑계가 많은 사람은 자기 잘못을 잘 인정 못하는 사람입니다. 자기 잘못을 인정 못
momo-24.com
참을인(忍) 자의 비밀
참을인(忍) 자의 비밀 참을인(忍)자는 칼도(刀)자밑에 마음심(心)자가 놓여 있습니다. 이대로참을인(忍)자를 해석하자면.. 가슴에 칼을얹고 있다는 뜻으로 풀이 됩니다. 가만히 누워있는데 시퍼
momo-24.com
운(運)과 공(公)
운(運)과 공(公) "운(運)" 이란 글자를, 뒤집어 읽으면 "공(公)"이 됩니다. 이는 "공" 들여야 "운" 이 온다는 뜻으로 공든 탑은 절대 무너지지 않습니다. 인생에서 진짜 중요한 건 사회적인
momo-24.com
엘니뇨 현상 ㆍ 라니냐 현상
엘니뇨 현상 ㆍ 라니냐 현상 엘니뇨 현상 [El Nino] 엘니뇨 : 변덕스런 아이 남미 페루 부근 태평양 적도 해역의 해수 온도가 크리스마스 무렵부터 이듬해 봄철까지 주변보다 2~10℃ 이상 높아지는
momo-24.com
728x90
반응형
LIST
'자기계발 > 사소한 궁금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말 유래] 짬이 나다ㆍ칠칠하다 (0) | 2021.02.19 |
---|---|
[유래] 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0) | 2021.02.18 |
[우리말 유래] 트집 잡다ㆍ판에 박다 (0) | 2021.02.18 |
코로나 시대, 새로운 '운동지침' (0) | 2021.02.17 |
감기ㆍ독감ㆍ폐렴 차이점 (0) | 2021.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