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1630

목이버섯 효능ㆍ부작용ㆍ고르는법ㆍ보관법ㆍ맛있게 먹는 법 목이버섯은 식이섬유소 함량이 매우 높고 비타민 D가 풍부하여 여성 건강에 아주 좋다고 합니다. 목이버섯은 생김새가 사람의 귀와 비슷하다고 하여 목이(木耳) 라 불리는 버섯입니다. 목이버섯은 느릅나무, 뽕나무, 닥나무, 버드나무 등에서 재배할 수 있으며 주로 중식요리 (탕수육 등) 에서 쉽게 만나볼 수 있습니다. 특유의 물렁거리는 식감으로 인해 목이버섯을 유독 좋아하는 사람도 있고 식감때문에 싫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목이버섯은 칼로리가 아주 낮으면서도 식이섬유와 수분이 풍부하기 때문에 조금만 먹어도 포만감을 오래 유지시켜주는 특징이 있어 다이어트를 할 때 식사 대용 식품으로 아주 탁월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검은색 목이버섯과 흰색 목이버섯이 있는데 중국은 흰색 목이버섯을 장수불로하게 하는 귀한 버.. 2020. 12. 12.
[우리말 유래] 시치미를 떼다ㆍ신기료 장수 시치미를 떼다 알고도 짐짓 모르는 체하다 의 뜻이다. 백제시대 당시에 웬만한 벼슬아치나 한량은 매 사냥을 즐겼다. 그러다 사냥을 시키기 위해 길들인 매를 다른 사람들이 탐을 내는 일이 생기게 되었고, 매가 마치 요즈음의 사냥개 이상으로 귀하게 대접을 받았다. 이에 따라 매를 도둑맞거나 서로 뒤바뀌는 것을 막기 위한 방편으로 매의 주인을 밝히기 위한 특별한 표지가 필요했다. 이런 표지로 매의 꼬리 위의 털 속에다 소뿔로 얇게 만든 명패를 매달았는데, 이것을 시치미라고 한다. 따라서 시치미를 떼면 누구의 매인지 알 수 없게 된다는 사실로부터 지금과 같은 뜻이 생겨났다. 예시문 : 원장이 아무것도 모르겠다고 시치미를 떼면 그것으로 어쩔 도리가 없는 것이었다. 신기료 장수 신을 깁는 것을 업으로 삼는 사람을 가.. 2020. 12. 12.
필리버스터 [filibuster] 필리버스터 [filibuster]란? 의회 안에서 다수파의 독주 등을 막기 위해, 합법적 수단으로 의사 진행을 지연시키는 무제한 토론을 의미합니다. 국회(의회)에서 소수파가 다수파의 독주를 막거나 기타 필요에 따라, 합법적 수단을 동원해 의사 진행을 지연시키는 무제한 토론을 가리키며, 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영국·프랑스·캐나다 등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영국 의회에서는 '프리부터(freebooter)'라고 합니다. 필리버스터는 16세기의 '해적 사략선(私掠船,교전국의 선박을 공격할 수 있는 권한을 정부로부터 인정받은 민간 소유의 무장 선박)' 또는 '약탈자'를 의미하는 스페인어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필리버스터는 장시간 연설, 규칙발언 연발, 의사진행 또는 신상발언 남발, 요식 및 형식적 절차의 철저한 이행.. 2020. 12. 12.
전문가가 말하는 술빨리 깨는 법 (숙취해소) 전문가가 말하는 술빨리 깨는 법 (숙취해소) 코로나 바이러스로 전국이 혼란스러운 요즘!! 올해도 어김없이 각종 모임과 술자리로 우리의 몸과 마음을 지치게 하는 연말이 찾아왔습니다. 때가 때인지라, 모든 모임이나, 단체 활동 모임을 자제하라는 정부 방침에 따라, 많은 국민들이 협조하고, 동참하며, 연말을 보내고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저도, 모임을 자제하고, 집에서 가볍게 혼술하며 지내고 있습니다. 그런데, 어떤날은 아침에 일어나기가 매우 힘들때가 있습니다. 가만히 생각해보면, 전날의 과음에 문제가 있었던것 같은데... 누구라도, 평소에 술을 자주 드신다면 아마 술 빨리 깨는법 대해 생각해본 적이 있을 겁니다. 특히 그중에서 간이 좋지 않다거나 숙취가 유독 심한 사람들도 꽤 많습니다 ​ 심하면 하루 종일 두.. 2020. 12. 11.
[우리말 유래] 술래ㆍ시집가다 술래 술래잡기놀이에서 숨은 아이를 찾아내는 차례를 당한 아이를 가리키는 말이다. 조선 시대에 도둑이나 화재 등을 경계하기 위해 밤에 궁중과 서울 둘레를 순시하던 군인을 순라(巡邏), 또는 순라군이라고 했다. 순라가 변해 술래가 되었으며, 찾으러 다닌다는 행위의 유사성으로 인해 지금과 같은 뜻을 지니게 되었다. 예시문 : 술래가 다가오자 아이들의 가슴은 조마조마했다. 시집가다 여자가 혼인을 하다라는 뜻이다. 시집은 시댁(媤宅), 즉 결혼한 남자의 집을 말한다. 결혼을 하면 여자가 남자의 집에 들어가 산다고 하여 여자가 혼인하는 것을시집간다고 표현하게 되었다. 시집은 여자가 새로운 어른들을 섬기며 사는 새로운 가문을 뜻하는새로운 집을 의미하며, 으로 변한 것이다. 그리고 시집을 한자로 표기하기 위해, 여인이.. 2020. 12. 11.
뱃살 빼는 방법ㆍ뱃살 운동법ㆍ뱃살 다이어트 방법 뱃살 빼는 방법ㆍ뱃살 운동법ㆍ뱃살 다이어트 방법 뱃살은 키우기는 쉬워도 없애기는 어렵다는 말을 많이들 합니다. 그 이유는 일상생활에서 잘못된 식습관으로 인한 간편한 음식, 그리고 스트레스와 단조로운 운동방식이 뱃살을 키우는 대부분의 요소입니다. 일반적으로 나이를 먹을수록 배가 점점 나와서 걱정이 많이 된다고 하시는분들이 많습니다. 배가 나오는 이유도 다양하고 원인도 다양합니다. 또한, 운동이나 다이어트를 하게되면 아랫배는 어느정도 들어가지만, 윗배는 빼기가 너무 어렵습니다. ​윗배가 나오는 이유는 숙변 때문에 그럴 수 있지만, 보통은 내장지방 때문에 윗배가 많이 나온다고 합니다. 또한, 차가운 음식ㆍ아이스크림 등... 차가운 음료를 자주 먹으면 내장에 찬 기운이 생기고, 배에 있는 내장들을 보호 하려고 .. 2020. 12. 10.
술 마시는 법도ㆍ술자리 예의ㆍ음주 십계명ㆍ술의 미학 술 마시는 법도ㆍ술자리 예의ㆍ음주 십계명ㆍ술의 미학 삼계(三戒) = 세가지를 경계하라 1) 유시계(酉時戒) = 술은 저녁 6시경에 마셔라. 2) 수세계(水洗戒) = 술을 마신 뒤에는 입을 물로 씻어라. 3) 삼배계(三杯戒) = 술을 마시되 석잔 이상 마시면 안된다, 즉, 술을 마시되 때를 구별할 줄 알며, 깨끗하게 마시고, 과음하지 말라는 교훈입니다. 삼식(三食) = 세가지를 먹어라 술을 먹되, 안주와 같이 먹고, 집에 가서 밥까지 먹어라는 뜻이다. 삼락(三樂) = 세가지를 즐겨라 술과 안주 맛을 즐기고, 대화를 즐기며, 운치(분위기)를 즐겨라. 삼금(三禁) = 세가지를 금하라 정치이야기를 금하고, 종교이야기를 금하며, 돈(재산) 자랑을 하지 말라. 삼예(三禮) = 세가지 예의는 지켜라 술을 적당히 권하.. 2020. 12. 10.
막걸리의 오덕(五德)과 삼반(三反) 막걸리의 오덕(五德)과 삼반(三反) 조선조 초의 명상 정인지(鄭麟趾)는 '젖과 막걸리는 생김새가 같다' 하고 아기들이 젖으로 생명을 키워 나가듯이 막걸리는 노인의 젖줄이라고 했습니다. 정인지를 비롯 문호 서거정(徐居正), 명신 손순효(孫舜孝)등은 만년에 막걸리로 밥을 대신했는데 병없이 장수했으며, 노인의 젖줄이라 함은 비단 영양 보급원일 뿐아니라 무병장수의 비밀을 암시하는 것이 되기도 합니다. 조선조 중엽에 막걸리 좋아하는 이씨 성의 판서가 있었습니다. 언젠가 아들들이 "왜 아버님은 좋은 약주나 소주가 있는데 막걸리만을 좋아하십니까" 하고 물었는데... 이에 이판서는 소 쓸개 세 개를 구해 오라 시켰습니다. 그 한 쓸개 주머니에는 소주를, 다른 쓸개 주머니에는 약주를, 나머지 쓸개 주머니에는 막걸리를 가.. 2020. 12. 10.
흑염소 효능 및 부작용, 흑염소 먹으면 안되는 사람은? 흑염소 효능 및 부작용, 흑염소 먹으면 안되는 사람은? 흑염소는 예로부터 이어져 오고 있는 민간요법입니다. 흑염소에 관한 기록 중 가장 오래된 것은 6세기 초 중국의 『제민요술(齊民要術)』이며, 우리나라는 고려시대 안우(安祐)가 중국에서 가져와 경상도에서 사육한 기록을 가장 초기로 보고 있습니다. 『세종실록(世宗實錄)』은 염소와 흑염소를 구분지어 기록하고 있으며 보양식으로 좋은 동물이라고 기록했으며,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와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흑염소가 허약을 낫게 하고 보양 강장, 회춘하는 약이며 마음을 편하게 한다고 기록했습니다. 흑염소는 한국 재래 토종이며 아무거나 잘 먹고 추위에도 강하며 성질도 운순하고, 주로 고기용이나 약용으로 쓰입니다. 특히 임산부, 허약 체질인 사람에게 좋아 .. 2020. 12. 10.
[우리말 유래] 손 없는 날ㆍ수릿날 손 없는 날 손을 타지 않는 길일(吉日)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사를 하거나 무슨 큰 행사가 있을 때, 어른들이 손 없는 날을 골라야 한다고 말하는 것을 자주 들을 수 있다. 여기서 손은 날수(日數)에 따라 4방위로 돌아다니며 사람의 활동을 방해한다는 귀신을 일컫는 말이다. 손은 음력으로 1이나 2가 들어가는 날은 동쪽에 있고, 3이나 4가 들어가는 날은 서쪽에 있다. 그리고 5나 6이 들어가는 날은 남쪽에 있고, 7이나 8이 들어가는 날은 북쪽에 있다. 9와 10이 들어가는 날은 하늘로 올라가 있으므로 귀신의 방해를 받지 않는다고 한다. 때문에 아무 손도 타지 않는다는 9일과 10일이 길일이 되는 것이다. 예시문 : 할머니께서는 손 없는 날 이사를 해야 별 탈이 없다고 하셨다. 수릿날 단오 명절을 달리 .. 2020. 12. 10.
옷에 묻은 커피 얼룩을 지우려면 현대인이 좋아하는 커피!! 하루에 한 잔 이상은 꼭 마시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저도, 하루에 기본 3 잔은 마시는 편입니다. 집안에서 커피를 마시다가, 실수로 옷에 커피를 쏟아 옷에 얼룩이 묻었을 때는 빨리 주방세제로 빨면 제거가 됩니다. 문제는 회사나 야외에서 옷에 커피얼룩이 묻었을때는 난감하게 됩니다. ​밖에서 옷에 커피얼룩이 튀여서 난감 할 때가 있습니다. 이럴때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탄산수를 이용하면 됩니다. 커피는 산성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알칼리성인 일반세제로는 잘 지위지지 않습니다. ​ 그래서 같은 산성인 탄산수로 쉽게 지울 수 있는것이며, 커피 얼룩이 묻은 부위를 마른 수건이나 손수건 위에 바르게 펴주고, 커피얼룩이 묻은 부위를 탄산수로 적셔 준 후에 잘 닦아 주면 됩니다. ​ 물이나.. 2020. 12. 9.
코로나19 증상에도 '순서' 있다 코로나19 증상에도 '순서' 있습니다. 코로나19 증상 발현 순서, 어떻게 될까요?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감염되면 다양한 증상을 보인다는 것이 이 질환의 특징입니다. 지금까지 보고된 증상만 해도 열 가지가 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아울러 증상의 심각 수준도 사람에 따라 달라 가벼운 증상에서 중증 질환까지 겪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미국 국립전염병연구소에서는 “코로나19처럼 광범위한 증상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를 본 적이 없다”는 분석을 내놓을 정도입니다. 그런데 한 연구팀이 코로나19에 감염됐을 때 나타나는 일관된 순서를 분석해 발표했습니다. 코로나19의 증상은 매우 다양합니다. 발열과 기침, 근육통이 일반적인 증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설사나 구토와 같은 소화기계 증상이 발생하는 경.. 2020. 12. 9.
[우리말 유래] 설ㆍ소매치기 설 설날의 설은 새로운의 뜻이다. 설날은 새로운 한 해가 시작하는 날의 의미가 될 것이며, 신라의 수도였던 서라벌도 설이 들어가 있는 것이다. 설은 모음교체가 되어 나이를 나타내는 살로 쓰인다. 즉, 설이 되면 한 살 더 먹는 것이다. 예시문 : 설이나 추석만 되면 귀성 차량들로 고속도로가 몸살을 앓는다. 소매치기 혼잡한 곳에서 남의 물건을 슬쩍 훔치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옛날 사람들이 입고 다니던 두루마기 따위 웃옷의 좌우에 있는 옷소매는 품이 크고 넓어서 흔히 그 안에 돈이나 다른 귀중한 물건들을 넣어 가지고 다녔다. 그러므로 그 옷소매 안에 있는 돈이나 물건을 훔친다고 해서 생긴 말이 소매치기이다. 예시문 : 소매치기가 복잡한 지하철 안에서 핸드백을 털다가 잠복근무 중인 형사에게 붙잡혔다. 2020. 12. 9.
표고버섯 효능 및 부작용, 좋은 표고를 고르는 법 표고버섯 [Shiitake] 재배가 쉽고 향미가 풍부한 표고버섯은 한국과 중국, 일본 모두에서 오래전부터 약용 버섯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동시에 식재료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표고버섯(Lentinula edodes)은 야생에서는 서어나무, 또는 그 주변에서 자생한다. 일본과 중국에서는 겨울철에 갓이 완전히 열리기 전에 수확한 것을 최고로 친다. 날로 먹을 때에는 갓에 장식용으로 십자 모양 칼집을 내고 줄기를 떼어낸다. 표고버섯은 맛도 좋은데다가 특유의 쫄깃한 식감으로 인해 다양한 요리에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서양권에서도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보기 드물게도 말린 표고버섯은 그저 신선한 버섯을 건조 처리한 것 이상의 가치를 지닌다. 그 자체로 식량이 되는 것이며, 말리는 과정에서 아미노산의 일종인 구.. 2020. 12. 8.
아몬드의 효능 및 부작용ㆍ고르는법ㆍ보관법 아몬드 [Almond] 견과류 중 대표적이라 할 수 있는 아몬드는 시중에서 저렴하게 구할 수 있으면서도 우리 몸에 다양하고 이로운 효과를 가져다 주는 식품입니다. 체중 조절을 위해 , 혹은 노화를 늦추기 ​위해 아몬드를 드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아몬드는 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하면서도 노화 예방 효과를 가진 비타민E도 풍부해서 피부 미용에 탁월하고 철분과 칼슘도 풍부해서 나이를 불문하고 남녀 노소 모두에게 훌륭한 건강 식품입니다. 아몬드는 통째로 섭취해도 되고 슬라이스 해서 부재료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우유와 함께 갈아 아몬드우유를 만들어 먹을수도 있습니다. 오늘은 견과류 중 가장 인기 많은 아몬드 효능 및 부작용, 복용 시 주의사항, 올바른 보관법과 좋은 아몬드를 고르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몬드.. 2020. 12. 8.
[우리말 유래] 삿대질ㆍ샌님 삿대질 말다툼을 할 때 주먹, 손가락, 막대기 따위로 상대방의 얼굴을 향해 내지르는 짓을 말한다. 삿대는 상앗대의 준말이며 상앗대는 물가에서 배를 떼거나, 또는 물이 얕은 곳에서 밀어 갈 때에 쓰는 장대를 말한다. 따라서 삿대질은 원래 상앗대로 배질을 하는 것을 일컫는 말이었다. 말다툼을 할 때에 주먹이나 손가락 또는 막대 등을 상대편의 얼굴 쪽으로 내지르는 짓이 마치 상앗대로 배질을 하는 것과 같다 하여 생긴 말이다. 예시문 : 두 봉의 무덤 사이에서 망부석이라도 된 듯 서 있는 칠보에게 삿대질을 하며 대들었다. 샌님 매우 얌전하며, 융통성이 없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샌님은 원래 이 줄어서 된 말이다. 생원은 조선 시대 과거 시험을 볼 때 소과 종장(終場)의 경의(經義) 시험에 합격한 사람을.. 2020. 12. 8.
소크라테스의 사과 [소크라테스의 사과] 어느 날 제자들이 소크라테스에게 물었다. “인생이란 무엇입니까?” 소크라테스는 그들을 사과나무 숲으로 데리고 갔다. 때마침 사과가 무르익는 계절이라 달콤한 과육 향기가 코를 찔렀다. 소크라테스는 제자들에게 숲 끝에서 끝까지 걸어가며 각자 가장 마음에 드는 사과를 하나씩 골라오도록 했다. 단, 다시 뒤로 되돌아갈 수 없으며 선택은 한 번뿐이라는 조건을 붙였다. 학생들은 사과나무 숲을 걸어가면서 유심히 관찰한 끝에 가장 크고 좋다고, 생각되는 열매를 하나씩 골랐다. 학생들이 모두 사과나무 숲의 끝에 도착했다. 소크라테스가 미리 와서 그들을 기다리고 있었다. 그가 웃으며 학생들에게 말했다. “모두 제일 좋은 열매를 골랐겠지?” 학생들은 서로의 것을 비교하며,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그 .. 2020. 12. 7.
배가 고프지 않는데 왜 먹을까? 가짜 배고픔? 저도,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중에 한 사람입니다. 다이어트는 배고픔과의 전쟁입니다. 전쟁은, 늘~ 항상~ 언제나~ 패배는 항상 제가 합니다. 저도 승리하고 싶지만~ 배고픔은 정말 참기 힘든 고통입니다. 그래서 알아봤습니다.!! ^^* 배고픔에는 진짜 배고픔이 있고, 가짜 배고픔이 있습니다. 그러면, ​가짜 배고픔은 어떤 증상들을 보일까요? 가짜 배고픔 1. 식사한 지 3시간이 지나지 않았는데 갑자기 배가 고프거나 특정한 메뉴 또는 음식이 먹고 싶을 때 가짜 배고픔 입니다. 2. 스트레스는 식욕호르몬을 자극하고,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매콤하고, 또는 달달한 음식이 땡긴다면 가짜 배고픔 입니다. ​ 3. 음식을 먹었는데도 공허함이 사라지지 않을 때도 가짜 배고픔 입니다. 가짜 배고픔은 진짜 배고픔과 달리 스트.. 2020. 12. 7.
운(運)과 공(公) 운(運)과 공(公) ​ "운(運)" 이란 글자를, 뒤집어 읽으면 "공(公)"이 됩니다. ​ 이는 "공" 들여야 "운" 이 온다는 뜻으로 공든 탑은 절대 무너지지 않습니다.​ 인생에서 진짜 중요한 건 사회적인 지위가, 아니라 삶을 어떤 사람들과 더불어 살아 가느냐는, 것이고 ​ 무엇을 가졌는가가, 아니라 남에게 무엇을 베푸느냐는 것이며, ​ 얼마나 많은 친구를 가졌는가가 아니라,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나를 친구로 생각하느냐는 것입니다. ​ "절대 좋은 운은 그냥오는게 아닙니다. 공을 정성으로 들여야만 좋은 운이 따르는 법입니다" ​ 오늘도 공들이는 하루 되었으면 참 좋을듯 합니다. 2020. 12. 7.
바나나 칼로리 및 바나나의 효능과 부작용 바나나 [banana] 외떡잎식물 생강목 파초과 바나나속에 속하는 식물의 총칭합니다. 열대 아시아가 원산지이며, 전세계 열대에서 아열대 지역에 분포되어 있습니다. 바나나는 열대에서 아열대의 10℃ 이상되는 지방에서 재배하며, 땅이 깊고 부드러우며, 물이 잘 빠지는 곳에서 잘 자랍니다. 번식은 땅속줄기에서 나온 싹과 헛비늘줄기의 가지로 하며, 열매를 맺고 밑동을 잘라낸 뒤 6개월이 지나면, 땅속줄기에서 새로운 어린줄기가 나와 자는데, 어린줄기 가운데 약한 것은 주기적으로 잘라내고, 튼튼한 것만 골라서 열매를 맺게 합니다. 정식은 사방 2.5∼4m에 1그루씩 심으며, 심은 후 1년이 지나면, 꽃이 피고 열매를 맺기 시작합니다. 분얼아는 한 그루에 2∼3개 이하로 유지하는 게 좋습니다. 1980년대부터 한국의.. 2020. 12. 7.
숫자로 알아보는 사자성어 모음 숫자로 알아보는 사자성어 모음 一刻三秋(일각삼추) ‘매우 짧은 시간이 삼년 같다.’는 뜻으로, 몹시 기다려지거나 지루한 느낌을 이르 는 말. 一刻一刻(일각일각) 시간이 흐름에 따라 시각마다 一刻千金(일각천금) ‘일각이 천금이다.’; 는 뜻. 즉, 극히 짧은 시각도 귀하고 소중하기가 천금과 같음을 일컬음. 즐거운 때나 重要한 때가 금방 지나감을 아쉬워함을 비유 一擧二得(일거이득) ①한 번 들어 둘을 얻음. ②한 가지의 일로 두 가지의 이익을 보는 것. 一擧一動(일거일동) 손놀림과 몸놀림 사소한 동작 하나하나. 일거수일투족. 一兼四益(일겸사익) ‘한 번의 겸손은 天, 地, 人의 사자로부터의 有益함을 가져오게 한다.’는 뜻으로, 謙遜해야 함을 强調한 말. 一莖九穗(일경구수) ‘한 포기의 줄기에서 아홉 개의 이.. 2020. 12. 7.
[우리말 유래] 산통깨다ㆍ산수갑산을 가다 산통깨다 일을 그르치게 하다는 뜻이다. 길이 10cm 가량의 향목(香木)이나 금속 혹은 대나무를 베어 괘(卦)를 새긴 것을 산가지 또는 산대라고 한다. 그리고 이 산대를 넣는 통을 산통이라고 한다. 점을 칠 때 산통을 대여섯 번 흔든 다음 산통을 거꾸로 들면 그 구멍으로 산가지가 나온다. 이 산가지의 괘로 점을 치는 것을 산통점이라고 한다. 이 때 산가지를 집어넣는 산통을 깨 버린다는 것이므로 어떤 일을 이루지 못하게 뒤틀어 버린다는 뜻으로 쓰게 되었다. 예시문 : 이런 식으로 정신이 흐트러지기로 하면 큰일이 이런 작은 일에서 산통이 깨집니다. 산수갑산을 가다 매우 힘들고 험난한 곳으로 가거나 어려운 지경에 이르다라는 뜻이다. 삼수는 함경남도 북서쪽에 있는 고장으로 대륙성 기후의 영향으로 국내에서 가장 .. 2020. 12. 7.
순수한 자연주의자 "모파상의 묘비명" 순수한 자연주의자 ㆍ 기 드 모파상 감수성의 억제나 대상의 치밀한 연구는 기 드 모파상에게는 조금도 힘드는 일이 아니었다고 합니다. 우리는 그에게서 자연주의의 가장 순수한 표현을 찾지 않으면 안 됩니다. 노르망디 사람인 기 드 모파상은, 참을성 있는 관찰과 문체의 힘을 가르쳐 준 스승의 지도 아래서 교육을 받았으며, 해군부에 이어 교육부에서 근무한 모파상은 말없이 공부했습니다. 그의 창작력은 놀라운 것이어서, 10년간에, 〈비계 덩어리〉(Boule-de-Suif, 1880)와 같은 단편집, 또는 〈여자의 일생〉(Une Vie, 1883), 〈벨라미〉(Bel-Ami, 1885), 〈죽음처럼 강하다〉 (Fort comme la Mort, 1889)와 같은 장편 소설 등 27권을 써냈습니다. 19세기 후반의 .. 2020. 12. 6.
송이버섯 효능과 손질 보관법 송이버섯 효능과 손질 보관법 송이버섯은 삼국사기 기록에 신라 성덕왕에게 진상했다고 나오고, 조선시대에도 영조가 "송이, 새끼 꿩, 고추장, 생전복은 네 가지 별미라, 이것들 덕분에 잘 먹었다." 하며 지극히 아끼던 음식이었을 정도로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대대로 왕에게 진상하던 귀한 식품이었습니다. 송이버섯은 맛과 향이 뛰어난데다가 인공 재배가 어렵고 오로지 소나무숲에서만 채취할 수 있다는 조건때문에 자연산을 구하기가 어려워 높은 몸값을 자랑하는 버섯입니다. 동의보감에서는 ‘나무에서 자라는 버섯 중 으뜸이다’ ‘위의 기능을 돕고 식욕을 높이며 설사를 멎게하고 기를 돋군다’ 라며 송이버섯의 뛰어난 맛과 효능이 기록되어 있기도 합니다. 최근에는 인공재배 기술이 개발된 덕분에 가격이 하향되는 추세이고 구하기.. 2020. 12. 6.
오이디푸스 컴플렉스 오이디푸스 컴플렉스 아들이 동성인 아버지에게는 적대적이지만 이성인 어머니에게는 호의적이며 무의식적으로 성(性)적 애착을 가지는 "복합감정" 입니다. 아버지에 대한 반감을 가지며 어머니에 대해서는 애정을 품는 아들의 심정, 특히 성적 요소를 가진 것. 이로 말미암은 복잡한 심정을 통틀어 '오이디푸스 컴플렉스'라고 합니다. 이 말의 근원인 '오이디푸스'는 희랍신화 시대의 '테바이'왕이었다. 그는 '라이오스'왕과 왕비 '이오카스테' 사이에 태어났는데 그 아이를 두고 '아폴로' 신전에서는 "장차 이 아이가 크면 아버지를 죽이고 어머니와 결혼한다"는 것이었다. 놀란 '라이오스' 왕은 이 아이를 죽이려고 했으나 그의 어머니는 몰래 산중에 버리고 만다. 산중에 버려진 '오이디푸스'는 요행히 이웃 나라 '코린토스'의 .. 2020. 12. 6.
[우리말 유래] 불현듯ㆍ사랑니 불현듯 갑자기, 걷잡을 수 없게, 느닷없이의 뜻을 지닌 말이다. 낱말 분석을 해 보면 으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는 의 옛말이다. 따라서 불을 켜면 갑자기 환해지듯이 어떤 일이나 생각이 느닷없이 이루어질 때 사용하는 말이 되었다. 예시문 : 나는 불현듯 다방에서 뛰어나와 택시를 잡으려고 했다. 사랑니 입 속의 뒤쪽 맨 구석에 나는 작은 어금니를 말한다. 사랑니는 대개 다른 어금니가 다 난 뒤, 성년기에 새로 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 시기에는 사람마다 이성에 대한 호기심이 많을 때며, 특히 새로 어금니가 날 때 마치 첫사랑을 앓듯이 몹시 아프다고 하여 사랑니라는 명칭이 붙게 되었다. 예시문 : 맨 안쪽 끝에 난 사랑니가 충치라서 뽑아야 한다. [우리말 유래] 미주알고주알ㆍ민며느리 미주알고주알 꼬치꼬.. 2020. 12. 6.
돈을 부르는 32가지 습관 돈을 부르는 습관과 돈을 내쫓는 습관 우리는 일상생활을 하면서 자신도 모르게 습관적으로 행동을 하게 됩니다. 그런, 무의식적인 행동에 따라, 본인도 모르게, 돈을 부르는 습관과 돈을 내쫓는 습관이 있다고 합니다. 그중에서도, 돈을 부르는 습관을 몇가지 알아보면... 일찍 일어나는 습관, 기록하는 습관, 준비하는 습관, 가계부 쓰는 습관, 인사하는 습관, 마무리하는 습관, 부지런한 습관, 오늘 할 일을 내일로 미루지 않는 습관, 말보다는 실천하는 습관, 약속 잘 지키는 습관, 등... 반대로 돈을 내쫓는 습관은 늦잠 자는 습관, 기록하지 않는 습관, 계획하지 않는 습관, 충동구매 과소비 습관, 가계부를 안쓰는 습관, 퍼주는 습관, 마무리를 하지 못하는 습관, 게으른 습관, 쓰고 남으면 저축하는 습관, 미루.. 2020. 12. 5.
하체 부실할 때 나타나는 '증상' 하체가 튼튼해야 전신에 활력이 돈다. 활동할 때 힘을 내는 몸 근육의 대부분이 하반신에 몰려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나이가 들면 근육이 자연스럽게 감소하면서, 하체 근육도 함께 줄어든다. 하체 근육이 부실하면 뼈와 관절에 문제가 생겨 무릎, 허리 통증을 유발하며 각종 성인병의 원인이 된다.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성기능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따라서 하체 힘이 약해질 때 나타나는 증상을 살펴보고, 하체 건강을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좋다. 하체 근육이 줄어들 때 생기는 증상은 다음과 같다. ▶ 아무리 바지를 올려 입어도 엉덩이 부분이 헐렁해진다. ▶ 딱딱한 의자에 앉으면 엉덩이가 아프다. ▶ 전립선 질환이 생겼다. ▶ 걸을 때 일직선으로 걸으려 하면 나도 모르게 비틀거린다. ▶ 괄약근이 약해져 소변이 .. 2020. 12. 5.
[우리말 유래] 부랴부랴ㆍ부질없다 부랴부랴 매우 급히 서두르는 모양을 가리키는 말이다. 불이야 불이야가 줄어서 된 말이다. 즉 불이 났다고 소리치면서 내달리듯이 매우 급한 일로 서두를 때 쓰는 말이다. 부리나케라는 말도 같은 이치에서 나온 말이다. 옛날에 불씨가 귀할 때 부시를 쳐서 불을 일으키는데 빨리 쳐야 불이 일어나는 데서 생긴 말이다. 부리나케는 불이 나게가 바뀐 말이다. 즉, 의 구조를 가진다. 예시문 : 겨울 초입에서는 이른 추위가 닥쳐서 부랴부랴 김장들을 재촉하고 쌓아 놓은 배추를 얼리더니... 부질없다 쓸데없고 공연한 행동을 가리키는 말이다. 옛날 대장간에서는 쇠붙이를 만들 때, 강하고 단단한 쇠를 얻기 위해서 쇠를 불에 달구었다 물에 담갔다 하기를 여러 번 했다. 따라서 횟수가 많을수록 더욱 단단한 쇠가 만들어졌다. 그러.. 2020. 12. 5.
치아가 착색되는 이유와 미백의 최대 적 오복중에 하나는 건강한 치아를 가지는 것이라 했습니다. 백세시대를 살아가는 이 시대에 음식을 잘 씹어 먹는 것만큼 중요한 게 또 있을까요? 치아 때문에 치과를 다니는 사람이라면 이해가 될 것입니다. 의학의 기술이 아무리 발달하고, 임플란트 기술이 아무리 좋아도 치아를 관리 안하면, 모두 소용없는 일 것입니다. 치아를 나쁘게 하는 요인은 음식물 섭취가 가장 많지만, 결국은 치아를 잘 관리하는 것이 방법입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치아가 착색되는 이유와 미백의 최대 적!! 치아 착색의 원인과 착색되게 하는 음식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희고 매끈한 치아에 왜 착색이 될까요? 치아는 '법랑질'이란 조직으로 덮여 있습니다. 법랑질은 도자기와 구조가 비슷한데, 표면은 도자기처럼 매끈하지만, 현미경으로 확대해보면.. 2020. 12. 4.
728x90